불교 이야기 148

광명진언(光明眞言)의 의미(意味)

옴 아모가 바이로차나 마하무드라 마니 파드마 즈바라 프라바를타야 훔 원효대사(元曉大師)는 유심안락도(唯心安樂道)에서 광명진언(光明眞言)의 공덕(功德)을 크게 강조(强調)하고, 이 진언(眞言)을 외우면 부처님의 광명(光明)을 얻어 모든 업보(業報)와 죄보(罪報)가 소멸(消滅)된다고 하였습니다. 광명진언(光明眞言)은 ① 과거(過去)의 잘못을 참회(懺悔)하고, ② 과거의 지나간 업장(業障)들을 조복(調伏) 받거나, ③ 수행(修行) 중에 장애(障碍)가 생길 때나, ④ 죽은 망자(亡者)를 서방정토(西方淨土)의 극락세계(極樂世界)로 인도할 때, 이 광명진언(光明眞言)을 외우면, 매우 효험(效驗)이 좋다고 하는 수승(殊勝)한 진언(眞言)입니다. 광명진언(光明眞言)은 살아있는 사람이나 죽은 이들 모두에게 부처님의 한량..

불교 이야기 2023.01.21

붓다의 숨결 따라 걷는 1167km, 43일 간의 대장정

■상월선원 만행결사 ‘부처님과 함께 걷다’ 2월9일부터 3월23일까지 인도·네팔 순례 사르나트~보드가야~라지기르~바이샬리 쿠시나가르~룸비니~쉬라바스티 7대 성지 새벽3시 출발해 매일 10시간 25km 걸어 외호 대중 포함한 100여명 사부대중 참가 붓다는 29세에 출가해 평생을 길에서 떠돌다 열반에 들었다. 45년 간 고행을 통해 치열하게 정진했고 끊임없이 중생을 교화했으며 쉬지 않고 설법하여 마침내 해탈해 불사(不死)의 경지에 이르렀다. 2600년 전 인류의 위대한 스승이 이뤄낸 모든 일이 이 ‘길’ 위에서 이뤄졌다. 붓다의 숨결을 찾아 걷는 43일 간의 대장정, 종단사 다시는 없을 위대한 여정이 불기 2567년인 2023년 인도와 네팔에서 펼쳐진다. 부처님께서 태어나신 곳, 고행하신 곳, 깨달음을 얻..

불교 이야기 2022.09.27

심心・의意・식識은 어떻게 다른가?

심心・의意・식識은 어떻게 다른가? ​[마음이란?] ​ 초기불교의 아비담마에서 말하는 마음의 개념은 무엇일까? 한마디로 마음은 ‘일어났다 사라지는 것’이라고 말한다. 마음이 한 곳에 고정되어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조건에 따라 일어났다 사라짐을 반복한다는 것이다. 이를 몇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마음은 대상이 있어야 일어난다. 둘째, 마음은 일어났다 사라진다. 셋째, 마음은 한순간에 한 가지 일밖에 하지 못한다. 넷째, 마음은 대상을 아는 것이다. ​ 마음이 시도 때도 없이 제멋대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대상과 마주쳤을 때만이 마음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 대상은 무엇일까. 바로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이다. 우리의 감각기관인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意가 감각대상인 ..

불교 이야기 2022.07.15

苦의 원인과 12연기설

苦의 원인과 12연기설 12연기설에 따르면 과거에 어리석은 마음[無明]으로 인해 행(行)을 지어 그 행위의 업력에 의해서 이번 생으로 윤회하여 몸을 받아 태어난다고 한다. 이 두 가지 무명과 행으로 인해 이번 생에 몸을 받았다면, 몸을 받은 뒤에는 업력으로 인하여 식이 생긴다. 부파불교의 업감연기설(자기가 지은 업력을 근본원인으로 하고 일체만유가 연이 되어서 과를 받는다는 주장)에 의하면 과거세의 무명과 행으로 인해 이번 생에 몸을 받는다고 한다. 이렇듯 우리의 행에 의해 우리의 몸이 형성되면 그곳에 식(識)이 발생한다. 이것은 식별, 인식이라고 해석된다. 몸이 형성되자 우리는 무의식적인 습(習)으로 그곳에 ‘나다’ 하는 아상(我相)을 짓고, 따라서 ‘나다’라는 생각으로 인해 거기에 분별하는 인식작용이 ..

불교 이야기 2022.01.03

사성제와 12연기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無眼界 乃至 無意識界)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는 근본불교에서 말하는 십팔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십팔계(十八界)란 인간의 주관적 감각기관의 요소인 안계・이계・비계・설계・신계・의계와 객관적 대상의 요소인 색계・성계・향계・미계・촉계・법계, 그리고 감각기관과 그 대상이 서로 만날 때 나타나는 인식작용인 안식계・이식계・비식계・설식계・신식계・의식계를 말한다.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란 십팔계의 첫 번째 안계에서부터 십팔계의 마지막 요소인 의식계까지의 열여덟 가지 모든 요소를 부정하는 말이다. 십팔계는 앞에서 말한 십이처에 육식(六識)을 합한 것이다. 무언가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인식 기능을 가지고 있는 기관[육근]과 인식의 대상[육경], 그리고 인식작용[육식]의 3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십이처와 십팔..

불교 이야기 2021.12.20

오온(五蘊)

부처님이 말씀하신 오온은 색 수 상 행 식의 다섯 가지 무더기를 말한다. 하나하나씩 다섯 무더기가 아니라, 다섯 가지가 하나로 된 무더기이다. 흔히들 색은 물질이고 수 상 행 식은 넷이 합쳐 정신을 이루는 것이라고, 물질과 정신으로 분류하는데, 이렇게 되면 물질 따로 있고 정신 따로 있고 하는 식으로 착각을 일으키게 된다. 사람이 죽으면 마치 육체만 죽고 정신은 영혼이 되어 하늘나라로 간다는 이론이 성립하게 되는 것이다. 물질을 독립된 실체로 보기 때문에 이런 오류를 범하는 데, 물질은 실체가 없는 것이어서 별개로 따로 존재하지 않고 그 궁극은 성질로 바뀌어 정신과 한 무더기를 이루는 것이어서 육체와 정신은 분리될 수 없다. 상즉(相卽) 한다는 의미이다. ​ 육체와 정신은 한 덩이로 육체가 멸하면 정신도..

불교 이야기 2021.12.11

수미산과 3계, 6도

수미산과 3계와 6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고대 인도인들은 세계 중앙에 거대한 수미산이 솟아 있고, 이 산을 중심으로 하여 세계가 전개되어 있다고 사유했다. 불교는 이 이상적 세계관과 신화를 채용해서 재구성했고, 또 이것을 바탕으로 마음과 생존 상태를 분류했다. 수미(須彌)는 ⓢⓟsumeru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이고, 묘고(妙高)라고 번역한다. 3계는 중생의 마음과 생존 상태를 세 단계로 나눈 것이다. 6도는 중생들이 저지른 행위에 따라 받는다고 하는 생존 상태, 또는 미혹한 중생의 마음 상태를 여섯 가지로 나누어 형상화한 것이다. 즉, 중생들의 마음 상태에 따라 머물게 되는 여섯 가지 세계이다. 수미산에 대해 《구사론》 제11권의 내용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수미산은 금 · 은 · 폐류리(吠..

불교 이야기 2021.10.12

능인스님 초파일의 노래 19곡 모음

1, 연등..............................................................................https://youtu.be/WlRJlogmNeA 2, 님이시여.....................................................................https://youtu.be/icrMEs1mkjs 3, 어이어이 갚을꺼나 부처님의 이 은혜를........https://youtu.be/gn_Ij5pct2s. 4, 우리 부처님...............................................................https://youtu.be/MH4ECLlhye0 5, 찬양합시다.............

불교 이야기 2021.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