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단에 바칠 돼지를 목메달아 희생을 마련하고 있다.
2. 제단에 올릴 제물들을 준비하고 있다.
3. 제례가 행해질 포제단의 잡초를 베어내고 손질을 하고 있다.
4. 제를 지낼 시간(00:00시)까지 이야기를 나누며 기다리고 있다.
5. 포지지신의 제단 위에 제물을 진설하였다.
6. 집례의 홀기문(의례진행절차를 쓴 글) 낭독에 맞추어 알자의 안내를 받아 헌관들이 제를 지낼 준비를 하고 있다.
7. 초헌관이 3상향(三上香: 향을 세번 올림)과 헌폐(獻幣: 옷감을 바침), 헌작(獻爵: 술을 올림)을 하고 있다.
8. 초헌관을 대신하여 대축이 독축(축문을 읽음)을 하고 있다.
9. 아헌관이 헌작(술을 올림)을 하고 있다.
10. 종헌관이 헌작에 앞서 집사가 술을 따르는 것을 지켜보고 있다.
11. 대축이 철변두(제단에 올린 제물들을 옮기는 의식)를 행하고 있다.
12. 제관들이 4배를 하고 있다.
13. 포제에 참석한 주민들이 4배를 하고 있다.
14. 초헌관이 지켜보는 가운데 대축이 축문과 폐백을 태우는 망료례(신을 보내는 의식)를 행하고 있다.
호근마을제(포제)축문.hwp
0.02MB
호근동포제방,제물,홀기문.hwp
0.05MB
포제축문(해석).jpg
0.22MB
동칠서팔.hwp
0.02MB
호근마을제(포제)축문.hwp
0.04MB
'호근 내고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호교총동문회 단합체육대회 이모저모 (0) | 2009.05.10 |
---|---|
포제(마을제)의 원형인 석전대제에 대하여 (0) | 2009.02.15 |
호근마을 포제봉행 (철변두에서 망료례까지) 과정 (0) | 2009.02.11 |
호근마을 포제봉행 (아헌례에서 음복례까지) 과정 (0) | 2009.02.11 |
호근마을 포제봉행 (제례 시작에서 독축까지) 과정 (0) | 2009.02.11 |